9호선 남양주 연장(강동하남남양주선), 노선도와 주변 부동산 전망

수도권 동북부의 교통 지도를 바꿀 핵심 사업, **지하철 9호선 남양주 연장(공식 명칭: 강동하남남양주선)**이 본격적인 추진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서울 강남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황금노선'의 연장 소식에 남양주 왕숙신도시를 비롯한 수혜 지역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 및 공공기관의 공식 자료를 토대로 사업 개요와 확정된 노선도, 그리고 가장 주목받는 주변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9호선 남양주 연장
9호선 남양주 연장

1. 사업 개요: 남양주 왕숙신도시를 위한 핵심 교통 대책

강동하남남양주선은 현재 공사 중인 9호선 4단계 연장(중앙보훈병원역~강일동)을 남양주까지 잇는 광역철도입니다. 서울 강동구 고덕동에서 시작해 하남 미사강변도시와 남양주 왕숙신도시(왕숙·왕숙2지구)를 거쳐 진접2지구까지 연결하는, 수도권 동북부를 관통하는 핵심 노선입니다.

(출처: 국토교통부)

  • 사업명: 강동하남남양주선 광역철도

  • 총연장: 17.59km

  • 총사업비: 약 2조 9천억 원

  • 신설역: 총 8개 (강동구 1, 하남시 1, 남양주시 6)

  • 추진 방식: 설계·시공 일괄입찰 (턴키) 방식

  • 착공 예정: 2027년 상반기

  • 개통 목표: 2031년

본 사업은 남양주 왕숙 공공주택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일환으로, 3기 신도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필수적인 교통 인프라입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2024년 12월 기본계획을 승인하면서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었습니다.


2. 확정 노선도 및 주요 경유지: 강남까지 환승 없이 한번에

강동하남남양주선의 가장 큰 장점은 서울의 핵심 업무지구를 관통하는 9호선과 직결 운행된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남양주에서 강남, 여의도까지 환승 없이 한 번에 도달할 수 있게 됩니다.

(출처: 남양주시, 2035년 남양주 도시기본계획 재수립 공청회 자료)

위 노선도는 남양주시가 발표한 도시기본계획안에 포함된 철도망 계획으로, 강동하남남양주선(9호선 연장)의 대략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선은 서울 강동구에서 시작하여 하남 미사지구, 남양주 다산신도시 인근, 왕숙2지구, 왕숙1지구를 거쳐 진접2지구까지 총 8개의 역이 신설될 예정입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남양주 진접2지구에서 서울 강남(신논현역)까지 현재 70분대에서 50분대로 이동 시간이 약 20분 이상 단축될 전망입니다.


3. 주변 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예상

교통망 확충은 부동산 시장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호재입니다. 특히 '황금노선' 9호선의 연장은 연선 지역의 부동산 가치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됩니다.

가. 직접 수혜 지역: 왕숙신도시 및 진접·다산지구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되는 곳은 노선이 직접 통과하는 남양주 왕숙·왕숙2지구와 종점부인 진접2지구입니다. 왕숙신도시는 '선교통 후입주' 원칙에 따라 교통망이 갖춰지는 만큼, 서울 접근성을 중시하는 실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이 예상됩니다. 특히 신규 분양 단지는 역과의 거리가 청약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기존 아파트가 밀집한 진접지구다산신도시 일부 지역도 역세권의 범위에 포함되면서 가치 재평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나. 간접 수혜 지역: 하남 미사강변도시

하남 미사강변도시는 이미 5호선이 운행 중이지만, 9호선이 추가로 신설되면서 강남 접근성이 더욱 강화됩니다. '더블 역세권' 프리미엄이 형성되면서 기존 주택 시장의 강세가 이어지고, 지역 내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다. 시장 전망 및 유의사항

일반적으로 철도 계획은 '발표-착공-개통' 시점마다 가격이 계단식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미 기본계획 승인 단계에서 기대감이 일부 시장에 반영되었으며, 향후 착공과 개통 시점에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2031년 개통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남아있고, 그 사이 금리 변동이나 부동산 정책 등 외부 변수가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단기적인 시세 차익을 노린 투자보다는 교통 편의성 향상에 따른 장기적인 주거 가치 상승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향후 계획 및 결론

경기도는 2025년 하반기부터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하여 2027년 상반기에는 첫 삽을 뜰 계획입니다. 강동하남남양주선은 단순한 지하철 노선 연장을 넘어, 수도권 동북부의 광역 교통 체계를 완성하고 3기 신도시의 성공을 담보하는 핵심 프로젝트입니다. 연선 지역의 주거 환경 개선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본 사업의 순조로운 추진을 기대합니다.

다음 이전